안녕하세요 이음청각언어센터 죽전센터 이정훈 원장입니다.
저는 한림대학교 청각학과를 졸업하고,
보청기 제조사에 취직하여 일을 하였고,
현재는 보청기 센터에서 보청기 상담, 관리 및 케어를 하고 있습니다.
그리고 "청능사"라는 자격증을 취득하였고,
과거에 "한국청능사협회"에서 홍보이사 역할을 수행 하였습니다.
그럼 청능사 자격증은 어떻게 취득하고, 어떤 일을 하는지 간략하게 소개 드리겠습니다.
▶자격정보 : 청능사
▶응시자격 : 청각학 전공 학부생은 제 3학년을 수료한 경우 / 학부 비전공 대학원생은 석사 제 3학기를 수료한 경우
▶취득요건 :
청능사자격검정원이 인정하는 국내외 대학교에서 청각학 학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
청능사자격검정원이 시행하는 청능사 자격증시험에 합격한 자
청능사자격검정원이 실시하는 청능사 자격증 수련교육을 마친 자
▶청각학 학위 인정 및 교과목 :
청각학의 학위 취득자는 학부 또는 대학원의 정규과정에서 학사 또는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하고
제 12 조의 검정과목과 연계되어 있는 다음 각 호의 분야 중에서 총 36학점(필수 33학점) 이상을 이수한 자를 뜻한다.
단, 온라인으로 수강한 교과목의 학점은 인정하지 아니한다.
▶청능사의 역할 및 현재
난청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청각기능의 평가와 재활을 담당하는 전문가
주 업무는 청력검사, 청각보조기(보청기, 인공와우 등)의 적합, 청능훈련 등 전반적인 청능재활을 담당
이러한 재활을 통하여 난청인의 의사소통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난청인에게 더 좋은 서비스들로 난청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함
현재 청각관리 종사자가 근무하는 사업체는 보청기 센터, 이비인후과, 보청기 제조사, 인공와우사, 및 연구소 등에서 관련 서비스 제공, 청각 평가, 재활, 교육, 제조, 상담, 및 연구 등의 다양한 직무를 수행
국가직무능력표준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청각관리 종목의 직업종사자는 5,400명으로 보고됨
현재 이음청각언어네트워크의 각 지점 원장님들은 전문청능사, 청능사 자격증 소지자로
대학교때 부터 청각을 공부하고, 15년 이상의 청각 관련 업무 지식과 경험이 있는 사람들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.
'청각과 건강관련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석증 증상과 원인 (0) | 2023.03.28 |
---|---|
귀지는 파야 할까? (0) | 2023.03.21 |
이명 치료? 재활? (0) | 2023.02.21 |
노인성 난청 (0) | 2023.02.17 |
편측성 난청. (0) | 2023.02.08 |